우리 인체는 늘 항상성을 유지하고 있다. 항상성이란 신체의 어떤 측정치에도 가장 적합한 단 하나의 수준, 수치, 양이 있다는 것을 염두에 두고 만들어진 개념이다. 당연히 의학은 인체의 항상성을 이상적으로 생각한다. 월경에 있어서의 항상성은 이를테면 이런 것이다. 정상적인 여성이라면 월경주기는 28±3일이며, 월경을 하는 날은 4±2일이고, 잃게 되는 피의 양은 35~80㎖가 적당하다. 따라서 이 범위를 벗어난 여성들은 의사의 관심을 받게 된다. 


그 중에서도 월경주기는 시상하부-뇌하수체-난소축의 기능적 상호관계가 지속적으로 반복되어 나타나는 총화다. 월경 주기의 가장 놀라운 특성은 규칙성이다. 만약 이들의 관계에 아무런 내외부의 자극이 없다면 최소의 비용으로서 규칙적인 월경 주기를 완수할 수 있을 것이다. 

항상성은 규칙적인 월경주기를 반영하는 좁은 범위의 수치, 28±3일에 방점을 둔다. 반면 알로스테시스는 이러한 이상적인 상태를 획득하기 위해 분주하게 변화한 인체의 반응들에 주목한다. 알로스테시스를 정의하자면 변화를 통하여 안정성을 획득하는 적응과정(“achieving stability through change")이다. 

그 중 스트레스 반응을 구성하는 시스템은 인체의 변화를 극적으로 일어나게 할 수 있다. 다음의 도식은 교감신경계와 HPA(시상하부-뇌하수체-부신) 축이 시상하부-뇌하수체-난소축과 어떻게 기능적으로 영향을 주고받는지에 대한 것이다. 

HORMONES 2008, 7(4):287-293 figure1

도식에서 보면 알 수 있듯이 스트레스를 받으면 활성화되는 HPA 축의 최종 결과물인 당질 코르티코이드(코티졸)은 시상하부-뇌하수체-난소축의 전 단계를 억제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당질 코르티코이드는 뇌하수체의 GnRH(시상하부에서 분비되어 뇌하수체에서 LH, FSH를 분비하게 한다)에 대한 감수성을 억제하고, 난소에도 작용하여 LH에 반응하지 못하도록 한다. 그 결과 LH, FSH 그리고 에스트로겐의 분비가 감소하여 그 영향으로 배란의 가능성이 줄어들 수 있다. 

이뿐이 아니다. 도식에서 나와 있진 않지만 스트레스를 받으면 당질 코르티코이드 뿐 아니라 엔도르핀이나 엔케팔린, 프로락틴 역시 분비된다. 전자는 시상하부에서 GnRH의 방출을 억제하고, 프로락틴은 당질 코르티코이드와 같이 뇌하수체의 GnRH에 대한 감수성을 억제하는 방식으로 월경주기를 늦출 수 있다. 

만약 당질 코르티코이드에 의한 HPA 축의 억제 피드백이 잘 작동한다면 이는 그리 큰 문제가 아닐 수도 있다. 그러나 여기에도 비용은 든다. 스트레스 반응을 되돌리기 위한, 즉 항상성을 유지하기 위한 비용은 계속 지출되고 있는 것이다. 

지속적이고 반복적인 스트레스는 꾸준한 비용 지출을 의미한다. 감당하지 못하는 순간이 온다면 그때는 혈중에 당질 코르티코이드를 비롯한 다양한 스트레스 호르몬들이 넘쳐나고 이것들이 생식의 전반을 억제하고 있을 때일 것이다. 배란은 억제되고 월경주기는 길어진다. 

해마의 위축은 보다 다른 성격의 ‘같은’ 문제를 일으킨다. 스트레스 반응의 ‘상황 종료’ 역할을 하는 곳이 해마다. 해마에는 당질 코르티코이드 수용체가 있어서 높아진 당질 코르티코이드를 감지하면 시상하부에 HPA 축 활성의 억제를 지시한다. 그러나 어떤 이유에서(가장 큰 이유는 노화, 그리고 당질 코르티코이드 독성) 해마가 제 기능을 못한다면 스트레스가 끝났음에도 여전히 인체에서는 스트레스 반응이 지속되고 있을 것이다. 결과는 역시 같다. 여성 생식의 전반은 억제되고, 배란의 가능성은 줄어들며, 월경주기는 길어지는 것이다. 


더 읽어보기
Ioannis Kyrou, Constantine Tsigos, "Chronic stress, visceral obesity and gonadal dysfunction", HORMONES 2008, 7(4):287-293
Suter, D., and Schwartz, N.,"Effects of glucocorticoids on secretion of luteinizing hormone and follicle-stimulating hormone by female rat pituitary cells in vitro", Endocrinology 117(1985):849
River,C.,"Luteinizing hormone-releasing hormone, gonadotropins, and gonadal steroids in stress", Annals of the New York Academy of Science 771(1996):187

 


+ Recent posts